김윤아 작가가 자신의 도자 작업과 함께 집필한 소설 <남 NAM>은 제법 잔혹한 리얼리즘 픽션이다. 작가는 글의 서두에서 ‘남’이라는 비현실적이고 이질적인, “빼어나게 아름다운 남자”를 등장시키며 이야기를 시작하는데, 여기서 기원도 정체도 알 수 없는 수수께끼의 인물 ‘남’은 공동체의 추악함을 비추는 장치이자,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허용된’ 폭력의 대상물, 즉 희생양(Scapegoat)으로서의 인물이다. 사람들은 그의 초월적 아름다움을 흠모하면서도, 동시에 그의 아름다움에 자신들의 추한 욕망과 부끄러운 비밀을 투사하고, 끝내 배제한다. 그러나 소설의 진짜 이야기는 ‘남’을 둘러싼 등장인물들의 사연을 담은, 외전의 형식에서 비로소 시작된다. 한 시골 마을에서 부조리(不條理, absurdity)한 고통으로 긴밀하게 연결된 <남> 외전의 인물들—김양, 조태호, 덕임 등—은, 공동체 외부에서부터 등장해 희생양이 될 수 있었던 ‘남’과는 달리, 내부에서 ‘밀려난 자’들이다. 그들은 모두 기이한 부조리극 속에서 자신만의 치열한 발버둥을 치고 있다. 김양(점순)의 삶은 ‘아름다움’이라는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덕임 역시 ’애꾸눈의 벙어리 여자‘라는 태생적 조건이 그 운명을 결정짓는다. 조태호는 내재화하고 대물림된 폭력의 희생자로서, 자기파괴적인 복수로 아버지를 살해함으로써 스스로를 추방한다. 이처럼 이들의 삶을 지배하는 것은 개인의 선택이라기보다는, 불가항력적인 힘(삶)이다. 그들은 주체에서 분리되고 내버려진, 즉 오물이나 시체처럼 불결하고 혐오스러운 존재(abject)이자 불합리한 폭력 그 자체이기도 하지만, 역설적으로 독자들은 그들이 부조리한 삶을 겪으며 느끼는 고통으로부터 그것을 견뎌내고자 하는 강한 삶의 의지를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테면, 말을 못 하는 벙어리여인 덕임은 가장 극적인 ’버려진 자‘이다. 그는 남편의 무자비한 폭력을 온몸으로 받아내며, 그저 맞고 부서지는 객체로 존재하지만, 침묵 속에서 딸 희자를 빼돌리고, 결국에는 남편의 얼굴을 돌로 짓이기는 행위를 통해 자신을 억압하던 질서를 전복시킨다. 작가는 덕임이 남편의 얼굴을 난도질당한 생선 토막처럼 여기며 신명을 느끼는, 혐오스러운 것이 숭고한 해방감으로 전이되는(abjection) 그 기괴한 순간을 비춤으로써, 억압되고 버려졌던 비체(卑體, abject)가 상징 질서를 파괴하며 공포스럽게 ’귀환‘하는 순간을 그려낸다 .-이지원 작가 | 김윤아사진 | 상위 청자 국제예술센터평론 | 이지원제작 | 잔느발행 | 추르추르프레스디자인 | 진나래ISBN |후원 |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이 책은 문화체육관광부와 (재)예술경영지원센터의 2025년 전속작가제 지원 사업을 통하여 발간하였습니다.이 책에 수록된 모든 텍스트, 사진, 및 작품 이미지는 김윤아 작가의 저작권에 의해 보호되며, 허가 없이 복제 또는 사용될 수 없습니다. The novel Nam by Kim Yoonah, written alongside her ceramic works, is a piece of brutal realism.At the outset, the author introduces an unreal and alien figure — Nam, described as “an exceptionally beautiful man.” His origins and identity remain unknown, and he functions as both a mirror reflecting the community’s ugliness and a scapegoat, a vessel for “permitted” violence through which collective conflict is resolved.People simultaneously adore and envy his transcendent beauty, projecting onto him their shameful desires and secrets — only to ultimately reject him.However, the true story begins not in the main narrative but in the addenda that revolve around Nam, revealing the lives of other characters.In a rural village bound by absurd and painful destinies, characters such as Kim Yang, Jo Taeho, and Dukim are all victims of internal exclusion. Unlike Nam, the outsider who becomes the scapegoat, they are the ones pushed out from within the community. Each of them struggles desperately within their own grotesque and absurd dramas.Kim Yang (Jeomsun) cannot escape the shackle of “beauty.” Dukim, born a “one-eyed mute woman,” is condemned by her very existence. Jo Taeho, a victim of inherited and internalized violence, kills his father in an act of self-destructive revenge and thereby exiles himself. Their lives are governed not by individual will, but by an irresistible force — life itself.They exist as beings cast out and separated from the subject — filthy and abject like waste or corpses — and yet, paradoxically, within their suffering, readers witness a fierce will to endure.Take Dukim, for instance: she is the most dramatically “discarded” being. Silenced and brutalized by her husband, she exists as an object of destruction. Yet, within her silence, she secretly saves her daughter, Heeja, and ultimately smashes her husband’s face with a stone, overturning the oppressive order that has bound her.In depicting the moment when Dukim feels ecstatic as she sees her husband’s face — mutilated and resembling chopped fish — the author captures the grotesque transformation where abjection becomes sublimity. In that horrifying yet liberating instant, the once-oppressed body — the abjectum — violently returns, shattering the symbolic order and confronting the reader with the terror of its return.— Lee Ji Won ARIST | Kim Yoonah Photography | Shangyu Celadon International art center Critique | Lee Ji-won Production | ZANNEPublisher | ChuruchuruPress Design | Jin Narae ISBN |Sponsored by |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This book was produced as part of the 2025 Exclusive Artist Support Program by the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All texts, photographs, and artwork images included in this book are copyrighted by artist Kim yoonah and must not be reproduced without permission. 구매 페이지로 이동하기Go to Purchase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