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JECTA ARCHIVES》의 첫 번째 시리즈 〈증식의 문턱〉은 데이터 기반 비물질 생명체 ‘아티젝타(Artijecta)’의 세계를 도큐먼트 포맷으로 구축한 개념 아카이브 북이다. 인공 문명을 별도의 생태계로 바라보며 다매체 설치 작업을 이어온 박예나의 최근 작업에는 ‘아티젝타’라는 존재가 등장한다. 이는 artificial, object, data를 결합해 명명한 가상의 개념으로, 뜨거워진 바닷물에서의 유기물 결합이 생명을 낳았다는 생명 기원 가설에 착안해, 과열된 데이터 생태계에서도 새로운 생명이 출현할 수 있다는 사고실험에서 탄생했다. 이 데이터 생명체는 단순한 픽션적 객체나 기술 발전의 부산물이 아니라, 인간이 구축한 시스템 속에서 태어나 기하급수적으로 축적되는 인간의 행위 패턴과 각종 데이터를 양분삼아 증식하고 진화하는, 현재를 반영해 살아있는 가설이자, 생태적 주체이다. 이는 붕괴하는 물리 세계와 폭발적으로 비옥해져가는 온라인 생태계의 틈에서, 인간 중심 질서의 해체를 촉발하는 촉매로 작동한다. 이 책은 하나의 소설도, 하나의 논문도 아니다. 용어집, 생리학 도표, 감염 메커니즘 시트, 필드 노트 파편, 가상의 보고서와 증거 사진 등이 신원 미상의 서류 꾸러미처럼 엮여, “데이터가 어떻게 생명성을 획득하는가”라는 가설을 물질적 증거의 어휘로 제시한다. 독자는 이 참조 문서 묶음을 파해치며, 아티젝타가 신호–신체–기억의 축을 가로질러 증식의 문턱을 넘는 정황을 점진적으로 이해하고 몰입하게 된다.이 시리즈의 목적은 작가가 구축한 본 세계관의 공용 기준선을 제공하고, 픽션과 사실의 경계에서 검증 가능한 서사 형식을 실험하며, 전시 맥락에서 참조 가능한 도구를 제시하는 데 있다. 책은 읽히는 동시에 조립되고, 보관되는 동시에 갱신되는 가변형 아카이브로 설계되어, 다음 장(章)으로 이어질 탐색을 예비하는 최초의 증거 꾸러미로 기능한다.아카이브 속에서 아티젝타의 정체는 단일하지 않다. 어떤 문건에서는 감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 다른 자료에서는 새로운 생명 방식을 제시하는 신적 존재, 또 다른 문서에서는 언급되면 안되는 위험체로 드러난다. 출처·시대·국적은 명확하지 않고, 서로 다른 종이·양식·공정이 혼재하며, 구성 순서는 가변적이다. 각 문서는 하나의 서류 철로 묶이되 분리·추가가 가능한 구조로 설계되어, 여러 장소에서 흩어져 발견되어 수집된 듯한 감촉을 남긴다. 표지의 서류철 구멍과 모조 ISBN에는 암호 코드가 은닉되어 세계관의 층위를 더한다.요컨대, 《ARTIJECTA ARCHIVES》은 이해와 몰입을 증폭시키는 증거 지향형 세계관 도구이며, ‘데이터가 생명으로 변환되는 순간’을 조립 가능한 문서의 질감으로 보존하고 갱신한다. 작가 | 박예나제작 | 잔느 (ZANNE)발행 | 위아낫컴퍼니디자인 | 잇민스 (it_mean_sss)후원 | 문화체육관광부, 예술경영지원센터 이 책은 문화체육관광부와 (재)예술경영지원센터의 2025년 전속작가제 지원 사업을 통하여 발간하였습니다. ARTIJECTA ARCHIVES—first series, Threshold of Proliferation—is a concept-archive book that constructs the world of the data-derived immaterial lifeform “Artijecta” in a documentary format.In Yena Park’s recent practice—approaching artificial civilization as an ecology in its own right—the entity “Artijecta” emerges. Named by combining artificial, object, and data, this speculative construct adapts origin-of-life hypotheses (in which heated seawater catalyzed organic combinations) to a hyper-dense data ecology, asking how new life might arise within contemporary networks. Artijecta is not a mere fictional object nor a by-product of technological progress; it is a living hypothesis and ecological agent, born within human-made systems and proliferating by feeding on exponentially accumulated behavior patterns and data. Operating between a collapsing material world and an explosively fertile online milieu, it catalyzes the unseating of anthropocentric order.Neither a novel nor an academic paper, the book assembles a glossary, physiology charts, infection-mechanism sheets, fragments of field notes, fabricated reports, and evidentiary photographs into an anonymous dossier, presenting the question—how do data acquire vitality?—in the vocabulary of material evidence. Through this reference set, readers progressively deepen their understanding and immersion as Artijecta traverses the axes of signal–body–memory to cross the threshold of proliferation.The series aims to: (1) provide a shared baseline for the artist’s worldbuilding; (2) test a verifiable narrative form at the boundary of fiction and fact; and (3) offer reusable tools of reference within exhibition and research contexts. Designed as a mutable archive—readable as it is assembled, and archivable as it is updated—the book functions as a first packet of evidence anticipating the next chapter of inquiry.Within the archive, Artijecta’s identity remains plural: in some documents a virus of infection; in others a quasi-divine agent proposing a new mode of life; elsewhere a dangerous entity that should not be named. Provenance, era, and nationality are deliberately indeterminate. Heterogeneous papers, formats, and processes are mixed; the sequence remains variable. Each document can be gathered into a single ring-binder dossier yet remains separable and expandable, leaving the tactile impression of materials scattered and later compiled. On the cover, binder perforations and a faux ISBN conceal cipher codes that thicken the stratigraphy of the world.In sum, ARTIJECTA ARCHIVES is a proof-oriented instrument of worldbuilding that amplifies understanding and immersion, preserving and updating—through the tactile language of an assemblable dossier—the moment when data turns into life. Artist l Yena ParkProduction | ZANNEPublisher | wearenotcompanyDesign | it_mean_sssSponsored by |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This book was published with support from the 2025 Exclusive Artist Support Program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the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구매 페이지로 이동하기Go to Purchase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