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시 명 : 다이얼로그 : 경계인간 (I AM BECAUSE WE ARE)기 간 : 2024년 8월 16일 부터 9월 6일 까지 운영시간 : 월-목 11:00~20:00, 금-일 11:00~21:00 (휴관일 없음)차명작가: 기슬기, 람한, 신교명, 오제성, 윤향로, 이병호, 한석현장 소 : 북촌 휘겸재 (서울 종로구 북촌로 46-3)주 관 : 예술경영지원센터주 최 : 문화체육관광부기획 - 운영: Hzone 전시서문《다이얼로그: 경계인간》은 경계의 다층성과 그 안에서 형성되는 관계의 복잡성을 탐구한다. 전시에 참여하는 7인의 작가들은 경계를 넘나들며 다양한 형태의 관계를 시각화하고,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등과 융합을 드러낸다. 경계는 단순한 분리와 단절의 공간이 아닌, 새로운 가능성과 창조의 장으로 제안된다. 전시의 작품들은 경계와 관계의 변동성을 표현하며, 다양한 요소들의 상호의존성과 복잡성을 시각적으로 드러낸다. 이는 현대 사회에서 자아와 타자의 관계를 재고하게 하고, 미래를 향한 새로운 서사를 상상하게 한다. 전시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경계와 관계의 재구성을 통해 관객들에게 경계의 확장성과 다층적 의미를 성찰하도록 한다. IntroductionDIALOGUE: I Am Because We Are explores the multi-layered nature of boundaries and the complexity of relationships formed within them. The seven participating artists visualize various forms of relationships as they traverse these boundaries, revealing the conflicts and fusions that arise. Boundaries are proposed not as spaces of mere separation and disconnection but as fields of new possibilities and creation. The works in the exhibition express the variability of boundaries and relationships, visually highlighting the interdependence and complexity of various elements. This prompts re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and others in contemporary society, imagining new narratives for the future. Through the constant reconfiguration of boundaries and relationships, the exhibition encourages the audience to reflect on these conceptual thresholds' expansiveness and multi-layered meanings. 영감을 주는 불완전함 야스민 오스트엔도르-로드리게스 (2024)영감은 종종 예상치 못한 순간에 찾아온다. 그러나 영감이 찾아오면 모든 것이 바뀔 수 있다. 이는 30대 초반의 아티스트 한석현에게도 일어난 일이다. 갤러리와 도시 생활의 모든 예술적 요소에 대한 깊은 관심에서 시작해 식물과 자연에 더 많은 관심을 갖게 된 자신의 변화를 발견한 것이다. 예술가로 생계가 불안정했던 그는 정원사로 일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바로 이 정원사로서의 경험에서 예술적 영감이 떠올랐고, 그에게 '다시, 나무 Reverse-Rebirth'를 만들겠다는 아이디어를 심어준 것은 바로 이 경험이었다. 그 이후로 전 세계에서 전시되는 대형 프로젝트로 발전된다'다시, 나무 Reverse-Rebirth'는 버려진 나무, 식물, 씨앗, 내장형 관수 시스템으로 만들어진 대형 설치 작품으로, 본질적으로 거대한 살아있는 나무처럼 보인다. 이 작품은 우리가 '자연'과 '자연적'이라고 생각하는 것과 인간이 만든 것과 인공적인 것에 대한 질문을 즉각적으로 제기한다. 한석현은 자신의 작품에서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찾으려고 하지 않지만, 어린 시절부터 성인이 될 때까지 자연에 대한 개념이 크게 변했다고 설명한다. 서울에서 자란 그는 사람들이 미니어처 정원(텃밭)을 가꾸던 것을 기억한다. 이 작은 정원들은 콘크리트 위에서 자라났다. 한석현은 콘크리트가 자연이라고 생각하며 자랐다. 그는 그것이 인간이 만든 재료라는 것을 몰랐다. 그는 그것이 항상 그곳에 있었다고 생각했다. 한: '우리 마음속에 있는 '자연'을 이해하는 방식은 현실과 매우 다를 때가 많습니다.' 그가 제시하는 또 다른 예는 서울 숲이다. 그는 이 '숲'이 인공적으로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알고 충격을 받았다. 인간이 만든 완벽한 숲을 만들기 위해 나무를 이식하고 벤치와 편리한 산책로를 갖추어 인간을 편안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조성한 곳. 그것을 숲이라고 부를 수 있을까? 서울은 인구 밀도가 굉장히 높은 도시다. 그래서 사람들은 주로 산을 통해서 자연을 접하곤 한다. 산을 제외하면 인간의 손이 닿지 않은 곳이 남아 있지 않다. 순수한 자연이란 건 존재하지 않고, 모든 게 인위적으로 보호되고 관리되고 있다. 우리에게 유익하다고 생각되는 자연의 일부만을 유지하는 것이 인류이다. 그의 작품 ‘수퍼-네추럴Super-natural’에서도 이러한 왜곡된 자연과의 관계가 분명히 드러난다.이 작품은 그가 녹색의 대량 생산된 물건들로 만들어 낸 일종의 정원, 풍경처럼 보인다. 한석현은 아티스트의 역할이란 우리 사회에서 이상한 것을 발견하고, 그걸 예술로 승화시키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그가 특이하다고 생각한 것 중 하나는 사람들이 환경에 대해 더욱 의식하게 되고 유기농 제품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슈퍼마켓에 있는 많은 제품의 광고에 녹색을 사용하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그런데 이들 제품 중 상당수는 건강이나 환경친화와는 전혀 관련이 없다. 그저 트렌드에 반응한 것뿐이다. 당시의 또 다른 유행어인 녹색 경제, 녹색 정치에도 같은 원칙이 적용되었다. 녹색이라는 용어는 남용되고 공허해졌으며, 어쩌면 도용되었을 수도 있다. 이후에 그는 '그린 워싱'이라는 용어를 알게 되었다. '트렌드가 진화했다.’라고 그는 설명한다. '요즘은 '녹색'이 포장재, 소재와 더 관련이 있다. 예를 들면 재활용 소재 같은 것도 좋은 사례이다. 한석현의 예술적 방법론은 마치 마술 카드 트릭과 같다. 첫눈에 착시 현상이라는 것을 알고 트릭의 일부라는 것을 알면서도 여전히 혼란스럽고, 수많은 질문으로 가득 차며, 그 모든 것의 뻔뻔함에 어느 정도 즐거움을 느끼게 된다. 스스로 놀라도록 허용하는 것이다.작가는 자연에 대한 우리의 이해에 의문을 제기하고 마술 트릭을 사용한다. 다행히도 그는 여전히 자연에 의해 영감을 받고 놀라곤 한다. 부모님이 은퇴하시고 도시에서 이사하여 포도농사를 시작하셨을 때 한석현 작가도 돕기 시작했고, 포도는 그에게 영감을 주었다. 그는 슈퍼마켓에 있는 포도가 크기와 모양이 항상 완벽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작가는 말한다. '도시 사람들은 많은 포도가 '못생겼다'는 것, 불완전하다는 것을 모른다. 그리고 바로 이 불완전함이 영감을 주는 것이다.예술가 대신 농부를 할 생각이 있느냐는 질문에 그는 웃음을 터뜨리며 잠시 망설이더니, “지금은 아니고, 언젠가는요.”라고 말한다. “우리집 포도 아주 맛있어요. 제 친구들 모두 우리 부모님의 포도를 좋아해요.” Inspiring imperfection By Yasmine Ostendorf-Rodríguez (2024)Inspiration often comes when you least expect it. Yet when it strikes, it can change everything. This happened to artist Han Seok Hyun, who, in his early thirties observed a transformation within himself. From a keen interest in galleries and all the artistic offerings of city-life, he noticed he became more interested in plants and nature. Since his financial life was not stable making art anyway, he took a job working as a gardener. And yet it was in this capacity that artistic inspiration struck him, and he got the idea that led him to making ‘Reverse Rebirth’; a majestic artwork which has been exhibited all over the world ever since. ‘Reverse Rebirth’ is a large-scale installation made of discarded wood, plants, seeds, and an inbuilt watering-system, that essentially looks like a huge, living tree. The artwork immediately raises questions around what we consider to be ‘nature and ‘natural’ versus what is human-made and artificial. Though Han does not try to answer any of these questions in his work, he explains that for him, the notion of what nature is, transformed drastically from when he was a child to being an adult. Growing up in Seoul, he remembers people keeping miniature gardens. These tiny gardens grew on top of concrete. Han grew up thinking concrete was nature. He didn’t know it was a human-made material. He thought it just always had been there. Han: ‘How we understand ‘nature’ in our minds, is often very different from the reality.’ Another example he poses is Seoul Forest. He was shocked to learn that this ‘forest’ was artificially built, it’s human-made. Trees had been transplanted to construct the perfect forest and to comfortably accommodate humans; with benches and convenient walking paths. Can we even call that a forest? Han: ‘Seoul is a very densely populated city, and people mostly engage with nature through the mountains. Besides the mountains there is nothing left that hasn’t been touched by humans. There is no such thing as pure nature, everything is artificially protected and managed. As humanity we only sustain the parts of nature that we deem beneficial for us.’ This warped relationship with the natural world also becomes apparent in his work ‘Super Natural.’ It appears to be a garden, a landscape, that he formed with green mass-produced objects. Han describes the role of an artist as to discover something odd in our society and to turn that into art. One thing he noticed to be peculiar, was that when people were becoming more eco-conscious and interested in organic products, that all the products in the supermarket started to use the colour green in how they were advertised. Yet many of these products had nothing to do with being healthy or environmental-friendly at all, they were just responding to the trend. The same applied to other buzz-words of that time; from the green economy to green politics; the term green was over-used and hollowed-out and possibly: hijacked. Later Han learned about the term ‘greenwashing.’ ‘The trend has evolved’, Han explains. ‘Nowadays the ‘greenness’ is more related to the packaging, the materials. Such as recycled materials. ‘ Han’s artistic methodologies are like a magic card trick: you know at first sight it’s an optical illusion and that you are part of the trick. Yet you are still confused, full of questions and somewhat entertained by the cheekiness of it all. You allow yourself to be amazed. Han questions and plays magic tricks with our understandings of nature. Luckily, he remains to be inspired and amazed by nature himself too. When his parents retired, they moved from the city and started to farm grapes. Han started to help them and the grapes inspired him. He realised that the grapes in the supermarket, always perfect in size and shape, are not at all like that. Han: ‘City people don’t know that many grapes are ‘ugly’, that they are imperfect. And that is exactly what makes them so inspirational.’ Imperfection is inspiring. When asked if he would consider being a farmer over an artist he laughs - and hesitates. ‘Not now, maybe one day.’ He ends: ‘But the grapes are very delicious. All my friends love my parent’s grapes.’